누군가의 입에서 불안, 무기력,그리고 우울을 듣는 것이 익숙해졌다. 신자유주의의 과도한 경쟁, 부채사회가 야기한 벗어 날 수 없는 ‘영원한 현재’, 이에 따르는 실존의 위기는 도처에서 발견된다. 영화 <화차>(변영주, 2012), <똥파리>(양익준, 2009) 그리고 소설 <엄마들>(김이설,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문학과지성사, 2010), <환영>(김이설,<환영>, 자음과 모음, 2011), <서른>(김애란, <비행운>,문학과 지성사, 2012), <달콤한 게 좋아>(정미경, <창작과 비평>, 2012년 봄호)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신자유주의 체제 아래에서 실존의 위기를 느끼며 방황한다. 이들은 무력하다.스스로 어떻게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도움을 바랄 수도 없다. 그저 ‘현재’에 적응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누군가의 이야기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에서 ‘나’ 역시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하기는 쉽지 않다. 도처에서 여러 포장의 단계를 거쳐‘희망’을 말한다. 희망에 도달하기 위해‘열심히의 세계’에서 발버둥친다. 그러나 여전히불안, 무기력 그리고 우울이다. 그렇다면 벗어 날 수 있다는 거짓된‘희망’에 함몰하기보다는, 현재를 극단으로끌고가 그 처절한 지점을 직면해야 하지 않을까?
2014년 <살아있는 밤의 산책자01>(공간 지금여기, 기획 별.별.밤)을 준비하면서 김태동의 <데이 브레이크(DayBreak)>시리즈를 살폈다. 그의 사진은 자명하게 자신의 존재를 설파하던기호들이 최소화되어 있었고, 어울릴 듯, 어울리지 않는 인물들이 자연스럽지만,매우 어색한 포즈로 그것도 무표정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들이 이곳에 왜왔는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지만,모든 것이 정지된 것 같은 밤의 도시 공간을 매력적으로 만들었다. 작가가 생각하는‘밤’이 궁금했다. <살아있는 밤의 산책자01>의 기획자로서 생각했던 밤은 경계 지워짐이 야기하는 비가시적인 우글거림이었다. 그러나 질러 말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김태동의 밤은 그냥 ‘밤’이었다. 밤의 자명성이 전제 되었으며,평면적이었다. 여전히 경계의 소멸이 아니라 경계 지워짐에 기대고 있었다.결국 전시를 함께 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밤이 무엇일까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했다.)몇 달이 지난 후 작가를 만나 작업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다시<데이 브레이크>시리즈를 다시 살폈다. 이 과정에서 발견한 것은 ‘배회하는/헤매는/방황하는 작가’ 김태동이었다. 이는 사진 속 인물들의모습과 겹쳤다. 무엇이 그들을 배회하게 했을까? 그들의 무표정이 왜그렇게 자연스러울까? 그들은 왜 고립되었을까? 어쩌면 김태동은‘밤’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고립’을 이야기하는 것일 수 있다. 이야기의 방점을 ‘밤’이 아닌 ‘고립’에 둔다면, 김태동의 작업은 의미심장하다. 그들의 배회에는 상당부분 삶의 고단함에 기인한다.그것을 견디기 위해, 벗어나기 위해, 그들은상념에 빠지고 배회한다. 그러나 종국에는 고립되어 있다. 밤의 스산함이건,공간의 황폐함이건, 건물의 전면화이건, <데이 브레이크>의 인물들은 모두 고립되어 있다. 그들 주변에 어느 누구도 없다. 그들 주변에는 ‘우연’이라는 가느다란 끈으로 만난 자신 앞에 있는 작가 김태동 뿐이다. 사뭇 당당하게 포즈를 취해보지만,역시 고립되어 있다. 스스로 어떻게 할 수도 없고, 누군가의 도움도 그들에게는 없다. 고립은 “비일상적이며비현실적”(김태동 작품집 <DAY BREAK BREAK DAY>에 수록된 강수정의 글 <그의 전략, Day Break>)인 것도, “익숙한 공간을 낯설게 보고자 하는 시도”(김태동 작품집 <DAY BREAK BREAK DAY>에 수록된 신수진의 글<주변과 중심의 유동성에 대한 탐구>)도, “익숙하지만 낯선 풍경”(네이버 캐스트 <헬로!아티스트>에 수록된 기혜경의 추천의 변)도 아니다. 그간 숨기고 싶었던 뼈아픈 현실이며, 여전히반복되는 익숙한 풍경 그 자체이다. 단지 보지 않으려 했을 뿐이다.
<브레이크 데이즈(Break Days)>시리즈는 ‘고립’을 전면화 했던 <데이 브레이크>시리즈와 쌍을 이룬다. 일출과 일몰이 닮아 있는 두 작업은 유사관계에 있다. 밤이 낮으로 변했다. 실상 이는 큰 차이는 아니다. 의미 생성에 주요한 ‘고립’은 여전히 그의 사진에 내재한다. 차이는 인물의 유무이다. 물론 <브레이크 데이즈>시리즈에도 인물이 있다. 하지만 공간만으로 고립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우연’이 만난 인물을 통해 ‘고립’을 전면화 했던 김태동의 작업에서 공간만으로 ‘고립’을 이야기하는 작업은 예외적이다. 두 작업의 차이는 인물 뒤에 숨어 있던 작가가 전면에 드러나는 것이다. 자신이 살던 연신내의 낮 공간을 촬영한 이 작업에서 작가는 관찰자의 시각을 버리고 자신을 본다. 작가가 그간의 세월을 보낸 연신내는 익숙하다. 익숙하다는 것은 고립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관계 맺을 것이 도처에 있다. 그럼에도 그의 사진 속 공간은 고립되어 있다. 그가 살아오며 낮에도, 밤에도 수없이 봤을 공간을 지나지만, 그는 무력감을 느낀다. ‘어찌 할 수 없음’의 외로움의 풍경이 여기저기에 편재해있다. 풍경이 장악한 고독감은 작가 자신의 것이면서, 작가 혼자만의 것은 아니다. 특정화한 어떤 인물의 고립이 아닌 나를 포함한 누군가의 고립으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김태동이 발견한 이 도시의 고립은 타인과 공유 할 수 없는 자기만의 만족을 위해 선택한 것이 아니다. ‘주어진 것’이다. 연대가 아닌 고립을 통한 무한경쟁의 강요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전형적인 인간형이다. 경쟁에 살아 남기 위해서 스스로 고립을 선택하고 어느 순간에는 그것이 고립 그 자체로 자기에게 돌아온다. 이는 그릇된 가치관 때문도 아니고, 열심히 살지 않았기 때문도 아니고, 실수를 했기 때문도 아니다. “가만히 있어라”라고 교묘하게 비가시적으로 강요하는 힘들이며, 그것에 순응해왔기 때문이다. 김태동은 ‘거짓된 희망’을 품으며 안주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립이 ‘의무’가 되어 있는 지금-여기를 직면한다. 그렇다면 고립을 잊을 것인가? 아니면 고립을 잊지 않을 것인가? 어려운 질문이다. 고립을 잊지 않는다면 더욱 더 고립될 것이며, 고립을 잊지 않는다는 것 역시 환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고립의 교감이 아닐까. 고립을 단일한 주체의 문제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교감해야 하는 그 무엇으로 바라보는 것 말이다. 지금 내 앞에는 <브레이크 데이즈>시리즈 중 한 장이 있다. 구파발역과 연신내역을 가리키는 표지판이 있고, 거대한 아파트가 있고 그 앞에는 또 다시 거대한 갈색 벽돌 건물이 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굴뚝이 있고, 컨테이너 박스가 있다. 어울리지 않는 이들이 하나의 풍경을 만들며 서로 기대고 있다. 이 풍경의 장면 장면을 하나씩 호출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나의 이야기를 말한다. 이질적이고, 낯선 풍경이 아니라 서로가 고립되어 있다. 그러나 고립 자체를 이야기하며 각자에게 손을 내밀어 본다. 비록 그것이 김태동이 밤거리에서 우연히 누군가를 만났던 것처럼 연약하고 가느다란 끈이라도 한 번 잡아보고자 한다. 불안과 공포는 고립을 자초한다. 이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리지음이다. 강요하는 고립을 희망으로 혹은 낭만으로, 혹은 낯선 것으로, 혹은 이질적인 것으로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고립을 통한 교감과 이에 따르는 무리지음이 필요하다. <브레이크 데이즈>시리즈에서 보이는 기괴하고 불안하지만, 그들의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김태동은 중앙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사진학과 순수파트를 졸업했다.작가는 도시의 공간적 지역적 경계를 탐험하고 그 도시의 기묘하고 낯선, 때로는 자신이거주했던 곳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작업한다. 도시공간과 특정 시간을 먼저 이미지화하고 그 프레임 안에 들어오는사람, 그 공간과 어울리는 사람들이 관심의 대상이다. 하지만 그들의삶에 직접 관여하는 것이 아닌 사진매체가 관객에게 주는 상상력에 주목한다. 2011년KT&G상상마당에서 주최하는 SKOPF AWARD에서 최종작가3인, 2012년 갤러리룩스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개인전을 가졌다.2012년 일우재단에서 주최하는 제4회 일우사진상을 수상하였으며 일우스페이스에서개인전 <Day-Break-Days>(2013)을 열었다. <site& space>(두산갤러리, 뉴욕, 2013),<젊은 모색>(국립현대미술관, 서울,2013), <사진 미래색>(고은사진미술관, 부산, 2012), 휴스턴 FotoFest에서 주최하는<International Discoveries>(2012)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taedong123@hotmail.com
미술평론가, 전시기획자.
어릴 적부터 즐겨하던 ‘해찰’을 지속하며 여기저기를 기웃거린다. 이를 바탕으로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하고, 작업을 한다. 현재는 한국의 근대성이어떻게 시각화 되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매일매일 영화를 본다.
LeeDae-beom peers about here and there, engaging in the kind of woolgathering heenjoyed as a child. He uses this as a basis for writing, planning exhibitions,and working in general. He is currently busy watching movies every day,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Korea’s modernity has beenvisualized.
Writtenby Lee Dae-beom
WhyWas He Compelled to Talk about “Isolation”?
Helplessness
I’vegotten used to hearing words like “anxiety,” “listlessness,” and “depression” coming out of people’s mouths. All around,we see an ineluctable “eternal present” – the product of overheated neoliberal competition and a debt society– and the resulting existential crisis. The characterappearing in the films Helpless (Byun Young-joo, 2012) and Breathless (YangIk-joon, 2009) and the stories “Moms” (Kim I-seol, Things No One Says, Moonji, 2010), “Welcome” (Kim I-seol, Welcome, Jaeum &Moeum, 2011), “Thirty” (KimAe-ran, Vapor Trail, Moonji, 2012), and “I Like SweetThings” (Jeong Mi-gyeong, Changbi Quarterly, Spring2012) are vagabonds experiencing existential crises under a neoliberal system.They are helpless. They can do nothing for themselves, nor can they expect helpfrom others. They are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only adapt to the present.They are stories that sound like someone else’s life,and it is not easy for us to recognize that we are no exceptions. Everywhere,people speak of “hope” – afterseveral stages of packaging. They struggle to achieve hope in a world of “hard work.” Yet they are still anxious,listless, and depressed. Rather than succumbing to the false hope that theymight escape, shouldn’t we usher the present to itsextremes and confront it at that point of desperation?
(Night)Isolation
Iobserved Kim Tae-dong’s Day Break series in 2014, while I waspreparing for Walker of Night 01 (NowHERE Seoul, planned byStarry.Starry.Night) Signs of self-expression in his photographs were obviouslyminimized; figures that seemed like they ought to fit, yet did not fit, facedforward in natural but very awkward poses, and with expressionless faces toboot. There was no way of knowing why they had come here, where they had comefrom or where they were going, yet Kim had created an attractive nighttime cityspace where everything seemed to have stopped. I was curious about the way theartist conceived of “night.” Asthe planner of Walker of Night 01, I had thought of night as an invisibleswarming produced by the erasure of boundaries. But –if I may be blunt – Kim Tae-dong’s night was simply night. The self-evident nature of night waspresupposed and two-dimensional. I was still relying on erasure of boundaries,rather than dissolution of boundaries. In the end, I couldn’t follow the exhibition (although I remained curious what night wasto Kim). A few months later, I met the artist, and we talked about work. Ilooked once again at the Day Break series. What I found in the process was KimTae-dong as an artist who loiters, strays, wanders. This overlapped with thefigures in the photographs. What had led them to wander? Why did theirexpressionlessness seem so natural? Why were they isolated?
PerhapsKim Tae-dong is not talking about night after all, but about isolation. Kim’swork becomes deeply meaningful when the story’s emphasisis placed on isolation instead of night. The figures’wandering stems in some part from the weariness of life. They wander to endure,to escape, or because they are lost in thought. In the end, though, they areisolated. Whether it is the bleakness of the night, the dilapidated state ofthe spaces, or the foregrounding of buildings, the figures in Day Break are allisolated. They have no one around them. The only person nearby is thephotographer before them, Kim Tae-dong, meeting them by way of the slenderstrand of coincidence. For all the bold poses they adopt, they are nonethelessisolated. They cannot do anything for themselves, nor can they count on helpfrom anyone else. Isolation is not “unquotidian andunrealistic” (Kang Su-jeong’s “His Strategy, Day Break” in the Kim Tae-dongcollection DAY BREAK BREAK DAY). It is not “an attemptto see familiar spaces as strange” (Shin Su-jin’s “An Exploration of the Fluidity of Centerand Periphery,” also in DAY BREAK BREAK DAY) or “a familiar yet strange landscape” (from GiHye-gyeong’s recommendation in Navercast’s Hello! Artist). It is the painful reality we have wished toconceal, a familiar landscape that continues to repeat itself. We simply didnot want to see it.
Communionin Isolation
TheBreak Days series forms a pair with Day Break, which foregrounded isolation.The two series share a similarity in their sunrises and sunsets. Nighttransforms into day. In truth, the difference is not great. Isolation, which iscrucial to the formation of meaning, remains present within his photographs.The difference lie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figures. To be sure,figures are present in the Break Days series. But Kim also speaks of isolationpurely through spaces. In a body of work that has used figures met by “chance” to highlight isolation, the use of spaces alone to discussisolation is exception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ries is that thephotographer emerges to the fore from his concealment behind the figures. Inthis series’s photographs of daytime spaces in Kim’s old neighborhood of Yeonsinnae in Seoul, the artist abandons theobserver perspective and looks at himself. Yeonsinnae, where he spent all ofthat time, is a familiar place. Familiarity means that he is not isolated. Allaround are things with which relationships could be formed. Yet the spaces inhis photographs are isolated. He passes spaces he must have seen countlesstimes in the day and nighttime, but his feeling is one of helplessness. Hereand there are landscapes of loneliness, of “nothing tobe done.” The solitary feeling within the landscapes’ grip is the artist’s, but it is not theartist’s alone. He presents a story not with theisolation of some specified figure, but with the isolation of “people,” including us. The urban isolationthat Kim Tae-dong has discovered is not a choice made purely to satisfyhimself, something that cannot be shared with others. It is something assigned.The typical model of the human being that the era demands is one forced intountrammeled competition, through isolation rather than solidarity. To survivethe competition, one takes isolation upon oneself – andat some point it returns to us as pure isolation. This is not the result ofmisguided values, of not living a diligent life or of making some kind ofmistake. It is because of powers that cleverly, invisibly compel us to “stay put,” and our acquiescence to them. Kimsteps away from complacent false hopes and confronts a here and now whereisolation has become obligation. So will we forget isolation? Or will we neverforget isolation? It’s a difficult question. If we donot forget isolation, we will only become more isolated – yet not forgetting isolation is nothing more than fantasy. Theimportant thing here may be communion in isolation. It is a matter of viewingisolation as something we must share, rather than reducing it to a simple issueof agency. I have before me right now an image from the Break Days series. Itshows a sign indicating the Gupabal and
Yeonsinnaesubway stations, a large apartment block, and before it another big, brownbrick building. There is a chimney of indeterminate nature and a container box.An odd assortment of people are leaning against each other, forming alandscape. I call up scene after scene from this landscape and listen to theirstories. And I tell my own story. This is not a heterogeneous, unfamiliarlandscape; it is isolation from one another. Yet he speaks of isolation itself,reaching his hand out to each one. It asks us to grab on to even as feeble andslender a strand as Kim Tae-dong meeting someone by chance on the street atnight. Anxiety and fear invite isolation. What we need to overcome that anxietyis the creation of crowds. Instead of dressing up forced isolation as hope, asromanticism, as something strange or disparate, we need communion throughisolation, and the formation of groups as a result. Just as the figures in theBreak Days series create landscapes – bizarre, uncertain, buttheir own.
KimTae-dong
KimTae-dong graduated from the bachelor’s and master’s programs in the pure section of the Chung-Ang UniversityDepartment of Photography. His work explores the spatial and regionalboundaries of the city, focusing on people in the city’speculiar and strange settings – sometimes including theplaces where he himself has lived. After he has created an image of an urbanspace and a specific moment, his attention turns to the people appearing in theframe, individuals harmonizing with the space. But instead of interveningdirectly in their lives, he focuses on the imagination that the photographicmedium confers on the viewer. Kim was one of three finalists in 2011 SKOPFAwards held by KT&G Sangsangmadang and held a solo exhibition afterselection for a 2012 Gallery Lux funding program for emerging artists. He wonhonors at the 4th Ilwoo Photography Awards held by the Ilwoo Foundation in2012, and staged the solo exhibition Day-Break-Days (2013) at Ilwoo Space in2013. He has also taken part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site& space (DOOSAN Gallery, New York, 2013), The Grouping Youth (National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13), The Future Colors of Photography (KoEun Museum of Photography, Busan, 2012), and the Houston FotoFest-organizedInternational Discoveries (2012).